Video thumbnail

    영어로 바꾸기 어려운 뉘앙스 2부🙆‍♀️ (영어회화, 오픽, 토스 필수 표현🔥)

    Valuable insights

    1.Fortunately와 Luckily의 유사성과 차이점: 두 단어 모두 '다행히'라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hurt' 동사 사용 시 'get hurt' 형태가 더 자주 사용되는 뉘앙스를 이해해야 한다.

    2.이유 없는 상황을 나타내는 두 가지 표현: 'For some reason'과 'somehow'는 근거 없는 느낌을 전달하지만, 'somehow'는 자기 합리화의 뉘앙스로도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3.화제 전환 및 확인 시 유용한 표현들: 'By the way'는 화제를 전환할 때 사용되며, 'Pressure'는 부담을 나타내는 핵심 단어이며, 'show up'은 나타나다의 의미로 활용된다.

    4.'대충'의 정도를 나타내는 어휘 활용법: 'Roughly'는 대략적인 수치를 나타낼 때, 'more or less'는 어느 정도 먹을 수 있는 수준임을 표현할 때 사용되어 뉘앙스 차이를 보인다.

    5.아슬아슬한 상황을 표현하는 'Close'의 사용: 경계선에 가까웠음을 나타내는 'close'는 위험하거나 아슬아슬한 상황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며, 'That was close'로 표현된다.

    '다행히'의 뉘앙스: Fortunately와 Luckily

    Fortunately와 luckily는 모두 '운'이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기 때문에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사가 구글링하는 모습을 보지 못했다는 실제 사례를 통해 '다행히'의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 상사가 검색하는 행위를 보지 못했다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에 해당한다.

    Hurt 동사의 올바른 사용법

    'Hurt'라는 단어는 다치다보다는 다치게 하다, 아프게 하다라는 뜻으로 훨씬 더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다행히 안 다쳤어'라는 표현은 'I didn't hurt'라고 쓰기보다는 'I didn't get hurt' 형태로 쓰는 것이 조금 더 일반적이고 자연스러운 표현으로 간주된다.

    • I didn't hurt (가능하지만 덜 사용됨)
    • I didn't get hurt (더 일반적으로 사용됨)

    이유를 모를 때: For some reason과 Somehow

    근거는 없지만 어떤 느낌이 들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for some reason'과 'somehow' 두 가지가 존재한다. 'for some reason'은 이유를 잘 모르겠지만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누군가가 실망한 것처럼 보일 때 활용될 수 있다.

    왠지 어 he looks disappointed in me today.

    Somehow의 숨겨진 의미

    'somehow' 역시 왠지 모른다는 의미를 가지지만, 진짜 이유를 모르는 경우보다는 약간의 자기 합리화가 필요할 때 사용될 수 있는 뉘앙스를 가진다. 예를 들어, 이유를 잘 모르겠지만 통장 잔고가 비어있을 때 자기 합리화의 의미로 사용 가능하다.

    화제 전환 및 부담 표현들

    '그나저나'라는 의미로 'by the way'가 사용되는데, 이는 대화 중 우리가 말하고 있던 화제를 전환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어서 확인차 '그거 다 했어?'라고 물어볼 때 사용하며, 이는 확인을 위한 질문임을 나타낸다.

    압력과 부담의 표현

    'Pressure'는 압력을 막 주는 행위를 의미하며, 말 자체가 엄청난 부담일 수 있다. 'No pressure'라는 표현은 부담 갖지 말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상대방에게 압력을 주지 않으려는 의도를 전달한다.

    • By the way: 그나저나 (화제 전환)
    • Show up: 나타나다, 오다
    • Never mind: 아무것도 아니야 (별로 알고 싶지 않아)

    대략적인 정도를 나타내는 표현들

    대략 어느 정도라는 뉘앙스를 표현할 때 'about' 외에도 다양한 표현이 존재한다. 여기서는 'roughly'와 'more or less' 두 가지를 중점적으로 다루는데, 이 표현들은 청취자들이 잘 모를 수 있어 학습할 가치가 높다.

    Roughly의 활용

    'Roughly'는 대략적인 수치나 시간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대충 5분 정도 공부하고 포기했다는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정확하지 않은 대략적인 시간을 나타낸다.

    More or less의 활용

    'More or less'는 'edible(먹을 수 있는)'과 결합하여 '대충 먹을 수 있을 정도'와 같이 어느 정도의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지만 허용 가능한 수준임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즉, 대충 준비했다는 뉘앙스를 전달한다.

    아슬아슬함의 표현: Close

    '아슬아슬하다'는 어떤 경계나 선에 거의 닿았을 때를 의미하며, 이때 'close'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이는 위험할 뻔했거나 경계선에 근접한 상황을 표현하는 데 매우 적합한 표현이다.

    That was close. 오, 아슬아슬했다. 위험할 뻔했어.

    아슬아슬했던 실제 사례

    매우 위험했던 사례로 전 남자친구에게 생일 축하 문자를 보낼 뻔했다는 상황이 제시된다. 이는 원래 엄마에게 보내야 할 문자를 실수로 보낼 뻔한 상황이며, 'almost'를 사용하여 뻔했다는 뉘앙스를 강화할 수 있다.

    상황
    표현
    아슬아슬했다.
    That was close.
    직장 상사에게 야시꾸리한 문자를 보낼 뻔했다.
    I sent a sexy text to my boss. (실제로는 보낼 뻔함)

    Useful links

    These links were generated based on the content of the video to help you deepen your knowledge about the topics discussed.

    This article was AI generated. It may contain errors and should be verified with the original source.
    VideoToWordsClarifyTube

    © 2025 ClarifyTube. All rights reserved.